맨아워(Man Hour)
맨아워는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비롯한 금속가공과 기계기구 제작업종 등에서 사용되며, 특히 완성차를 중심으로 자동차 부품제조업등 대부분의 자동차 관련 업종에서, 생산인력과 생산시간, 나아가서는 임금산정의 기본적인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다.
맨아워란 3년 이상의 숙련자가 한시간동안 할 수 있는 작업분량 이란 의미로 사용된다. 이는 공정을 단위작업으로 나누어 작업에 필요한 인원인 공수를 산정하고 나서 단위작업의 작업표준시간을 설정하고 특별한 문제가 없이 이를 한시간 동안 수행하였을 경우 어느 정도의 분량을 할 수 있는가로 측정된다. 이때 한시간당 생산된 수량을 UPH(Unit Per Hour)라고 한다.
맨아워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공수, 작업표준시간의 산정방법, 여유율의 산정방법 등 맨아워 설정을 위한 사전단계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1. 공수의 개념
공수란 일정한 작업에 요하는 인원수를 노동시간 또는 노동일로 나타내는 개념으로 인시(人時, man-hour:인원수×노동시간), 또는 인일(人日, man-day:인원수×노동일수)로 나타낸다.
공정계획에 있어서 각 작업에 소요되는 공수를 계산하여 공수계획표를 작성한다. 각 부문별 ·제품별로 보유공수와 소요공수를 산출하여 정시간작업(定時間作業) 중에서 부족공수가 생기면 연장작업, 또는 외주(外注)의 공수대책을 수립한다.
공수의 절감은 작업관리 ·생산관리의 중요 과제이다. 그리고 시간 연구에 의하여 표준공수를 설정하고, 이와 공수실적과를 비교함으로써 생산성을 측정하는 데에 쓰이기도 한다. 표준 공수에 임금단가를 곱하여 표준노무비를 산출하여 원가관리에서 참고자료로 할 수도 있고, 제품원가의 견적(見積)을 작성하는 데 이용할 수도 있다.
2. 작업표준시간의 개념
작업표준시간이란 표준화된 작업을 정상적인 숙련도의 작업자가 정신적/육체적 피로가 없는 정상적인 속도로 한 단위의 작업을 완수하는데 필요한 시간으로 작업시간과 여유시간으로 구성되며, 작업시간은 다시 정미시간과 준비시간으로 구성된다.
![](http://blogfiles9.naver.net/data25/2007/5/3/280/%C0%DB%BE%F7%C7%A5%C1%D8%BD%C3%B0%A3-niceturtle.jpg)
'닷컴's_IT > 나만의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ex 관련 단신들 (0) | 2008.04.08 |
---|---|
What is Flex? (0) | 2008.03.17 |
밸런타인데이 겨냥한 e메일 웜 주의보 (0) | 2008.01.17 |
상암에 IT콤플렉스 구축 (0) | 2008.01.16 |
각종 자동차 전자태그 카드, 종합카드로 통합된다 (0) | 2008.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