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닷컴's_멀티미디어/방송-영화

2025년 최저임금 4차 수정안, 노동계 1만1260원·경영계 1만110원 격차 1150원으로 감소

최저임금 4차 수정안 ‘1만1260원 vs 1만110원’… 노사 격차 1150원으로 줄어

2025년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과 관련해 노사 양측이 제시한 4차 수정안이 공개되면서 최저임금 격차가 최초 요구안보다 다소 좁혀진 상황입니다. 노동계는 시간당 1만1260원(전년 대비 12.3% 인상)을, 경영계는 1만110원(0.8% 인상)을 각각 제시해 양측 간 격차는 1150원으로 줄어들었습니다.

노동계 최저임금 요구안 변화 추이

  • 최초 요구안: 1만1500원 (14.7% 인상)
  • 1, 2차 수정안: 1만1460원 (14.3% 인상)
  • 3차 수정안: 1만1360원 (13.3% 인상)
  • 4차 수정안: 1만1260원 (12.3% 인상)

노동계는 최초 요구안에서 점차 인상률을 낮추며 4차 수정안에서는 3차 수정안 대비 100원을 내린 금액을 제시했습니다.

경영계 최저임금 요구안 변화 추이

  • 최초 요구안: 동결 (1만30원)
  • 1, 2차 수정안: 1만70원 (0.4% 인상)
  • 3차 수정안: 1만90원 (0.6% 인상)
  • 4차 수정안: 1만110원 (0.8% 인상)

경영계는 동결 입장에서 소폭 인상 쪽으로 입장을 조정하며 4차 수정안에서 1만110원을 제시했습니다.

최저임금 격차 및 현황

최저임금위원회 제8차 전원회의에서 노사가 4차 수정안을 내놓으면서 격차는 최초 1470원에서 1150원으로 줄었으나, 여전히 상당한 차이가 존재해 합의에 이르지 못했습니다. 회의는 세종정부청사에서 진행되었으며, 노동계와 경영계 모두 인상률 조정을 반복하고 있지만 이견을 좁히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최저임금 인상률 변화 요약

구분 노동계 경영계 노사 격차
최초 요구안 1만1500원 (14.7% 인상) 1만30원 (동결) 1470원
1~2차 수정안 1만1460원 (14.3% 인상) 1만70원 (0.4% 인상) 1390원
3차 수정안 1만1360원 (13.3% 인상) 1만90원 (0.6% 인상) 1270원
4차 수정안 1만1260원 (12.3% 인상) 1만110원 (0.8% 인상) 1150원

향후 전망 및 과제

최저임금위원회의 이번 4차 수정안을 통해 노사 간 격차가 다소 줄어든 점은 긍정적이지만, 여전히 1000원 이상 차이가 있어 최종 합의까지는 난항이 예상됩니다. 노동계는 근로자의 생활 안정과 실질적 임금 인상을 위해 높은 수준을 요구하고 있고, 경영계는 중소기업과 영세 사업장의 부담을 이유로 인상률을 최소화하려는 입장입니다. 따라서 정부 중재와 추가 협상이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최저임금 인상 논의 관련 주요 키워드

  • 최저임금 2025
  • 최저임금 4차 수정안
  • 노동계 최저임금 요구
  • 경영계 최저임금 요구
  • 최저임금 인상률
  • 노사 최저임금 격차

최저임금 인상은 근로자의 생계와 기업 경영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번 논의 결과가 사회 전반에 미치는 파장은 클 것으로 전망됩니다.